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사이트에 등록된 정책뉴스, 카드, 한컷, 사실은 이렇습니다 등의 기사제목, 기사내용, 관련부처 등을 조회 합니다.
리더연구 및 선도연구센터로 세계 최고 수준 기초연구 육성
글링크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6445&call_from=rsslink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3년도 기초연구사업의 선정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에 선정된 프로젝트는 총 1120개로 리더연구(7개), 선도연구센터(25개), 기본연구(924개), 기초연구실(114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됩니다. 기초연구사업은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자들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개인/집단 기초연구사업으로, 리더연구는 1997년부터 259명의 연구자를 선정해 1조 2000억원을 지원했으며, 선도연구센터는 30여년 동안 434개를 지원해 2조 9148억원 지원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기초연구사업의 선정을 통해 기초과학 분야에 대한 국가적 관심과 지원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특히, 정부는 기초연구 평가/관리체계 고도화와 국가 수요를 반영한 기초연구 확대 등을 통해 정부가 꾸준히 투자하여 기초연구에 강국이 되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따라서, 이번에 발표된 기초연구사업 선정 결과는 국내 과학기술 분야의 발전을 위한 긍정적인 기대감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has announced the results of the 2023 Basic Research Projects selection. A total of 1,120 projects were selected, including seven leader research projects, 25 advanced research centers, 924 basic research, and 114 basic research laboratories covering various fields. Basic research projects are one of the best individual/group basic research projects that support the best domestic researchers. Since 1997, the leader research has supported 259 researchers with KRW 120 trillion, and the advanced research center has supported 434 projects for more than 30 years with KRW 2.9148 trillion.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plans to strengthen national interest and support for basic science through the selection of the Basic Research Projects.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plans to invest steadily in basic research and become a powerful country in basic research by enhancing the basic research evaluation/management system and expanding basic research to reflect national demand. Therefore, the selection results of the Basic Research Projects announced this time are expected to bring positive expect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국토부, ‘택배차 강매사기 근절대책’ 추진…피해신고 센터 운영
글링크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6434&call_from=rsslink
국토교통부는 사기업체들이 실업자나 청년층을 대상으로 너무 비싼 배송용 차량을 팔아 붙이는 사기를 적극적으로 단속하기 위해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사기는 종종 가짜 취업 제안이나 높은 급여 약속과 같은 거짓말을 이용해 청년층이나 실업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잘못된 취업 광고로 진행됩니다. 정부는 이미 300여 명의 피해자가 존재하는 이 사기를 막기 위해 민간 기업과 함께 작업중에 있습니다.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announced measures to actively crack down on scams where fraudulent companies sell overpriced delivery vehicles to unemployed or young people. Such scams often involve false job offers or promises of high salaries as part of misleading employment advertisements targeting young people or the unemployed. The government is already working with private companies to prevent this scam, which has already affected over 300 victims.
경영실적 부진 5개 기관장 해임 건의…성과급 삭감·반납
글링크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6441&call_from=rsslink
정부의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4개 기관이 최하 등급을 받았습니다. 이에 대해 5개 기관장에 대해서는 해임을 건의하며, 재무위험이 높은 15개 공기업에는 성과급 삭감 및 자율 반납을 권고했습니다. 이번 평가에서는 최고 등급인 탁월 등급은 없었으며, S등급과 A등급은 4곳 줄고, C등급과 E등급은 각각 5곳과 1곳씩 늘어났습니다. 평가는 정부의 정책방향을 반영한 첫 번째 평가로, 효율성과 공공성 간 균형 있는 평가에 중점을 뒀습니다. 평가 결과는 대체로 부정적이며, 공공기관의 경영과 성과에 대한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Four government agencies received the lowest rating in the government's public agency management evaluation. As a result, five agency heads were recommended for dismissal, and 15 high-risk public enterprises were advised to reduce performance bonuses and return autonomy. There was no highest rating of "excellent" in this evaluation, and the number of "S" and "A" grades decreased by four each, while "C" and "E" grades increased by five and one, respectively. This evaluation is the first to reflect the government's policy direction, with a focus on a balanced assessment of efficiency and publicness. The evaluation results are mostly negative, highlighting the need for active improvement in public agency management and performance.
응급환자 정보, 119구급대-인근 의료기관 간 실시간 공유
글링크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6444&call_from=rsslink
지난해에는 응급환자 이송 지연 건수가 4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응급환자 수 증가와 함께 의료기관에서 수용 여부를 확인하는 문의 전화 등으로 인해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소방청에서는 119구급대가 환자 정보를 인근 의료기관과 실시간으로 공유하면서 이송 지연을 줄이기 위한 중장기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이 계획에 따르면, 119구급대의 업무 방식을 개선하고 응급환자 이송 지침을 정비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이송 지연을 최소화하고 환자들이 신속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또한, 119구급대원의 현장 응급처치 표준 지침 준수를 위한 교육 강화 등을 추진하여 응급 상황에서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노력은 응급환자들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며, 지연 없이 신속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줄 것입니다. 더불어, 119구급대가 활동하는 여러 지역에서의 의료 서비스 형평성과 질적 개선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이 기계는 소방청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되돌아본다고 할 수 있습니다.
Last year, the number of cases where emergency patients were delayed in transfer increased by nearly four times. This is because it takes time to confirm the acceptance of patients in medical facilities, among other things such as inquiries and phone calls. To solve this problem, the National Fire Agency (NFA) unveiled a medium- to long-term plan to reduce transfer delays by sharing patient information between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nearby medical facilities in real-time. According to the plan, the work method of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will be improved and guidelines for emergency patient transfers will be prepared. Steps will be taken to minimize transfer delays so that patients can receive treatment quickly. In additio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will be conducted to reinforce the compliance of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personnel with standard on-site emergency treatment procedures. These efforts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protecting the safety and health of emergency patients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prompt treatment without delay.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great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fairness and quality of medical services in various areas where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are active. This can be seen as a positive step by the NFA.
원본 데이터 출처: 정책브리핑 www.korea.kr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05월 11일 정책포털 정책뉴스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1) | 2023.06.16 |
---|